A Snake on a Train

서문[편집 | 원본 편집]
한때 리버티게임에서 양산형 철도 게임을 처리한다고 할 때 선형적인(일차원적 진행인) 게임들은 리버티책으로 옮기자는 의견을 남겼는데, 소극적으로 주장해서인지 내 의견이 씹혔다. (*Τ_Π*)
그래서 내가 그냥 맹글기루 했다. 제목은 Snakes on a Train이라는 저예산 B급 망작?(로튼토마토 신선도가 무려 18%다!) 영화에서 따왔다.
본문[편집 | 원본 편집]
주제별[편집 | 원본 편집]
- 벙개답사
- 나의 철도노선 답사기
- 2023년 5월 29일 제1차 오류선 답사기
- 2023년 7월 28일 제2차 오류선 답사기
- 2023년 9월 10일 부평제6종합창선 및 부평3군지사선 답사기
- 의정부시 속편 (2023년 7월 18일 경원선·교외선 의정부시 구간 답사기)
- 𝔇𝔦𝔢 𝔏𝔢𝔟𝔢𝔫𝔰𝔯ꞛ𝔲𝔪𝔢 (Die Lebensräume)
- خانه دوست کجاست (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)
- 도농통합 이전 옛 천안시
- 의정부시
- 광명·철산동-계남 동부 (구로구 오류동의 생활권)
- 대전광역시
- 예당(내포)평야 (아산~예산~홍성~당진~아산)
- 경기 남부 (안중·서평택~평택시내~직산~안성~이천)
- 철도대학 일반교양
최초 작성일 순[편집 | 원본 편집]
- 마천안양천구청주공항
- 2023년 5월 29일 제1차 오류선 답사기
- خانه دوست کجاست (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)
- 2023년 7월 28일 제2차 오류선 답사기
- 도농통합 이전 옛 천안시
- 매주 편입학하는 자들
답사 완료[편집 | 원본 편집]
- 수도권 1호선
- 서울 1호선: 서울역~청량리(서울시립대입구)
- 경부·장항선: 서울역~신창(순천향대) (광명 포함, 서동탄 제외)
- 경인선: 노량진~소사(서울신대), 부평, 인천(차이나타운)
- 경원선: 창동~용산, 회룡~녹양, 소요산
- 서울 2호선: 신촌(지하)~대림(구로구청), 양천구청~신도림, 시청~한양대
- 수도권 3호선
- 서울 3호선: 안국~고속터미널
- 수도권 4호선
- 서울 4호선: 노원~사당
- 과천선: 사당~남태령~금정
- 안산선: 금정~오이도
- 수도권 5호선
- 서울 5호선: 신길~아차산(어린이대공원후문)
- 마천지선: 마천
- 서울 6호선: 연신내~광흥창, 보문~동묘앞
- 서울 7호선: 수락산, 마들 제외한 전 구간
- 어린이대공원은 아주 쩔었다. 수달이 69하는 것을 공으로 보았으니.
- 서울 9호선: 국회의사당~노량진
- 인천 1호선: 인천시청~부평
- 인천 2호선: 석남(거북시장)~인천시청
- 대전 1호선: 대전~용문, 월평(한국과학기술원)
- 의정부 경전철: '회룡~흥선'을 따라 걸어감
- 수도권 경의중앙선
- 경원선: 회기(경희대앞)~용산
- 중앙선: 청량리(지상)~상봉(시외버스터미널)
- 서해선: 소사(서울신대)~시흥대야, 신현
- 수도권 수인분당선
- 수인선: 인천(차이나타운)~오이도
- 분당선: 왕십리(성동구청)~강남구청
- 신림선: 샛강~서울지방병무청
- 우이신설선: 신설동~4.19 민주묘지
- 경부선
- 일반/고속철도: 서울역~대전, 부산
- 장항선
- 일반철도: 천안~웅천
- 호남선
- 일반철도: 서대전
- 전라선
- 고속철도: 구례구~여수EXPO
- 경춘선
- 수도권 전철 경춘선: 김유정, 청평~상봉(시외버스터미널)
- 충북선: 조치원~청주공항
- 강릉선
- 고속철도: 서울역, 강릉
- 교외선: 의정부~의정부북부(a.k.a. 가능), 가릉역(경민대) 터 추정 지역
- 오류선: 현존 전 구간 도보로 완주(+서해선 신현역 답사)
- 부평 군부대선: 남동향과 북서향이 있는데 오류선보다 압도적으로 짧아서 한꺼번에 답사함. (2023년 9월 10일)
- 부평제6종합창선 (북서향): 캠프 마켓.
- 부평3군지사선 (남동향): 3군지사.
작성 의향 있음[편집 | 원본 편집]
- 가산디지털단지역: 옛 가리봉역,
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.
― 《원미동 사람들》 - 광명역: 이케아와 코스트코, 광명동굴, 광명역-사당역 셔틀버스, 77번 버스타고 광명사거리로.
- 광명사거리역: 옛 광명역, 광명전통시장과 광사먹골
- 광운대역(성북): 광운대역을 지하화 시키려고 했던 어느 국회의원 후보 이야기
- 광화문역: 1호선에도 광화문역이 선다면? → 전차시대 재개
- 구로역: 경인선과 경부선의 분기점. 경인선 상행과 경부선 하행 환승은 구로역에서, 하행끼리는 신도림역에서 하기를.
- 구룡역: 핌피로 지어졌으면서 주변에 아무 것도 없는 역
- 구일역(동양미래대학): 고척 돔 야구장과 항공기 소음, 이상한 역 구조
- 국회의사당역: 국회의사당 근처 집회들, 꽤 깊은 역
- 금정역: 사당역에서 수원역까지 환승 없이 이동 가능했던 시절의 이야기
- 김유정역: 김유정 문학촌과 레일 바이크
- 노량진역: 노량진 수산시장에서 윈도쇼핑, 9호선과의 특이한 환승 게이트 위치
- 노원역: 4호선에서 7호선에 이르는 기나길고 기이한 환승 통로
- 대공원역(과천선): 그냥 추억
- 대성리역: MT촌은 1마일
- 대전역: 역 내 성심당, 가락국수, 연계 교통
- 대방역: 신림선과의 옘병할 환승
- 동대문역: 창신동, 동대문, 기―ㄴ 환승
-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(Dance Dance Party): 동대문야구장 이야기, 청계천의 생태, 주변의 이색 풍경, 평화시장
- 동대입구역: 장충동 이야기, 그래도 꽤 가까운 동국대'입구'
- 동묘앞역: 동대문역과의 짧은 거리
- 명동역: 옛 미도파백화점과 옛 미쓰코시 백화점 이야기
- 부평역: 오류동역 못잖게 큰 역. 화물도 취급하고 환승역이고 수요가 많아 급행과 특급이 정차하며, 오류선처럼 군부대선이 존재한다고 한다.
- 삼산체육관역: 위치는 인천, 가장 가까운 건물은 부천시의 한국만화박물관, 야인시대의 전차 2량
- 상록수역: 심훈의 소설 《상록수》의 배경이 된 동네와 상록구
- 서대전역: 서대전역네거리와 서대전네거리역의 혼란
- 서대전네거리역: 서대전네거리역과 서대전역네거리의 혼란
- 서울역: 개독과 천리교의 전도 싸움 구경 이야기, 혼잡한 환승
- 서울지방병무청역: 태어나서 처음으로 색약 판정 받은 이야기
- 성균관대역: 성균관대역에서 성균관대까지 거리는 화서역에서 성균관대까지 거리와 비슷함. (도보 10분)
- 성환역: 청일전쟁 중의 성환 전투
- 소사역: 서해선과의 환승, 대곡소사선 개통 이전에도 적잖았던 수요, 인근에는 원미동.
- 소요산역: 피서, 소요산, 경원선 연장, 반공 탑(?)
- 신길역: 5호선에서 1호선으로의 오금 저리는 환승
- 신길온천역: 온천 없는 온천역
- 신도림역: 지옥
- 신설동역: 특이한 환승 게이트 위치, 1호선과 2호선의 최초의 환승역
- 신용산역(아모레퍼시픽): 용산역과의 애매한 위치와 통합 예정, 근처의 미군 기지.
- 신이문역(한국예술종합학교): 전설의 1초 역세권
- 양평역: 원조 국밥 먹으러 갔다가 영등포 구경한 이야기
- 역곡역(가톨릭대): 오류동 주민이 홈플러스와 트레이더스 홀세일에 가기 위해 가는 곳
- 연천역: 나도 궁금해서
- 오산역: 경부선 누리로의 흔적, 무궁화호가 7량이었던 흔적
- 오송역: 핌피. 세우려거든 조치원에 KTX 역을 맹글 것이지.
- 오이도역: 오이도를 가려거든 정왕역을 가시오.
- 온수역(성공회대입구): 온수(溫水)는 7호선 인근에 있음.
- 온양온천역: 난 차라리 아산온천이 더 좋더라.
- 왕십리역: 분당선의 실질적 기점, 서울의 부도심
- 용문역: 롯데백화점 안에 있는 성심당, 역 인근에는 신천지?
- 용산역: 장항선 등의 실질적 기점, 경인선 급행 열차의 종점, 국철 타고 성북 가기, 일반전철 승강장에서 타고 내리는 ITX-청춘
- 월평역(한국과학기술원): 꽤 먼 카이스트, 월평동 트레이더스 홀세일
- 의왕역: 철도박물관
- 이수역(총신대입구): 총신대입구는 남성역으로.
- 인천역: 두단식 승강장, 1호선역이 지하화 되어서 수인선과 연결되었다면?
- 인천시청역: 꽤 컸던 인천 1호선과 경전철인 인천 2호선의 너무나도 큰 대비
- 장암역: 어쩌면 세상에서 두번째로 연장 의지가 없는 역 구조. 그럼에도 연장이 계획된 것이 놀라울 따름.
- 종각역: 옛 화신백화점, 영풍문고, 종로서적, 종로타워
- 종로3가역: 종삼, 3호선 및 5호선과 1호선 간의 기나긴 환승
- 창동역: 이유는 모르겠는데 공사중이었음
- 직산역: 정유재란 중의 직산 전투, 직산 금광과 성환천에 얽힌 이야기
- 천왕역: 역 개통 후 지역 개발.
- 철산역: 가까운 안양천, 의외의 곳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
- 초지역(공단): 멀리 있는 안산공단, 어쩌다 보니 3개 노선 환승
- 충무로역: 역 내에 있는 영화인 캐리커처 벽화와 역대 대종상 수상작 포스터 (그 중 압권은 단언컨대, 《애니깽》임에 틀림 없다.)
- 평택지제역: 허허벌판의 SRT역 (제2의 공주역?)
- 한대앞역: 학력고사 치르려고 한양대 갔는데 안산으로 간 이야기
- 한양대역: 출구가 대학교 안에 있는 진정한 대학교 역
- 혜화역: 한국 연극의 브로드웨이, 마로니에 공원
- 회기역(경희대앞): 중앙선(용산~이촌~지상청량리~회기~성북)이 1호선의 지선이었던 시절, 본선과 지선의 환승역
- 회현역: 명동 상권에서 이어짐
- 4.19 민주묘지역: 플랫폼에 바로 있는 개찰구와 출구, 꽤 멀리 있는 민주묘지
- 교외선: 능곡에서 시작하든 의정부에서 시작하든, 재개통 전에 답사하고 싶다. 특히 가릉역을 가보고 싶다. 터가 경민대 인근에 있대서 갔더니 터의 흔적도 못 찾았다. 성질이 뻗쳐서 녹양역까지 걸어갔다. (송추역까지 갔다가 돌아올 엄두가 안 나서)
도보시오[편집 | 원본 편집]
Written by an Existentialist | |
---|---|
소설 | 차이나 게이트, 공화국의 소리, B사감과 러브레터,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|
비평문 | 발토 3부작(1 · 2 · 3), 언더독, Elokuvateatterinmuistikirja |
삼류 만화 | 개의 세상, 리버티문고, A Snake on a Train, 성저십리 사람들 |
초딩소설 | 사량손냄과 언먀 |
사전 | 일베용어사전, 조선말대사전으로 바라보는 북한 |
기타 | Vietato Fumare, Gay Science for High-School Students |